<aside> 💡
서버의 성능 개선을 고려한 서비스 개발 경험
</aside>
프로젝트 경험이 있지만 단순한 CRUD 구현에 그쳤으며 사용하는 기술 스택들에 대한 이해가 없이 활용하기에 급급한 개발을 하였습니다.
ex) JPA의 내부 동작, 프레임워크의 객체 관리 방식에 대한 이해
따라서 동작하기만 하는 것이 아닌, 근거 있는 기술 스택 선정과 테스트 코드 작성을 기반으로한 서비스를 개발하는 경험을 해보고 싶었습니다.
협업
GithubProject를 활용한 백로그 관리 + 플래닝 포커
플래닝 포커를 진행하며 작업을 효율적으로 분담할 수 있었고, 해야할 작업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도구들을 활용해보았습니다.
코드 리뷰
코드리뷰를 진행하며 다른 팀원의 진행 상황을 밀접하게 파악하여 유기적으로 협업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개발
개발 스택 선정 및 활용
Redis, Docker와 같은 기술 스택을 사용하는 근거를 직접 판단하고, 사용하는 경험을 하였습니다.
프레임워크의 동작 방식
Nest의 객체 관리 방식에 대해서 이해하고, NestJS의 Request lifecycle을 활용하여 코드를 작성하는 경험을 하였습니다.
테스트 코드
테스트 코드를 직접 작성해보며 테스트 코드의 필요성을 경험하였습니다.
로깅
실제로 배포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에 필요한 도구를 마련하였습니다.
로그인이 없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세션으로 사용자를 관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