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용량 조회 및 제한 |
docker로 ibd파일이 있는 해당 디렉토리의 크기를 리눅스 명령어로 조회하여 디스크 용량을 확인합니다. exec 명령어로 자식 프로세스에서 명령어를 실행시켜서 확인하도록 하였습니다. |
|
일반적인 방식은 아닌 것 같아서 이런 방법을 사용해도 괜찮을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
디스크의 용량을 조회할 수 있는 방법이 이 방법밖에 없다면 사용할 수도 있긴할 것 같습니다… |
|
저장되는 데이터의 정보의 위치가 변동된다면?! 너무 위험이 커질 것 같아서 |
|
|
커널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보다 다른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을지 더 찾아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
|
|
|
|
로깅 처리 |
요청, 응답 외에 어떤 값들을 로깅하는지 궁금합니다. |
요청, 응답은 기본! |
에러 핸들러가 있으면 핸들러에서 에러는 로깅을 하면 될 것 같습니다. |
|
|
함수 성능, 네트워크 시간 등을 측정해서 로깅으로 남겨두기도 합니다. |
|
|
중요한 부분 warning으로 확인을 하기도 합니다. 몇분 동안 warning에 대한 로그가 얼마나 찍혔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
|
|
- |
면접에서는 어떤 질문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
우선 이력서를 작성해보기 |
회사마다 많이 다르다 |
|
|
꼬리질문을 많이 하기 때문에 혼자서 쉐도우 복싱을 많이 해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
|
멘토님의 경우 코드를 깔끔하게 작성할 사람이 필요해서,, 객체 지향 등의 질문을 많이 하셨었다. |
|
|
자기소개가 중요!! 자신에게 물어볼만한 질문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