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링 일지

안녕하세요 멘토님, 이번주에는 개발을 많이 진행하지 못했어서 기술적인 것 외에 대한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개별 멘토링이 일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늦게 전달드리게 되었습니다. 정말 죄송합니다.

문제 접근방식 답변
배경지식이 많이 없는 상황에서 팀원간의 의사소통에 참가하기 팀원들이 논의하는 것을 주로 들으며 최대한 기존 지식으로 이해하다가, 정말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중간에 대화를 잠깐 끊고 질문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이전까지 제가 이해한 것을 먼저 설명하고 맞게 이해를 한 것인지 물어보았습니다.

팀원분들이 제 이해를 검토하고 잘못 이해한 부분은 정정해주셔서 의사소통속도가 오히려 더 빨라질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렇게 이해를 맞춰가면서 진행하는게 다 듣고나서 맞추는것보다 좋은 방식 맞겠죠? 맞다는 생각이 들면서도 저 때문에 다른 팀원분들의 논의가 늦어지는 것 같아서 죄송한 마음이 듭니다… |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긴 합니다.

제 생각에는 나중에 쌓아놓고 물어보는 것 보다는 바로바로 물어보는게 훨씬 나을 것 같습니다.

모르는데 흐름때문에 이야기를 안하다가 놓칠 수도 있고, 잘못 이해할 수도 있고. 나중에 서로 잘못 이해하고 있으면 그것만큼 골치 아픈것도 없어서 다소 흐름이 끊기더라도 모르는건 바로바로 물어보면서 맞추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 | 처음 해보는 일에 대한 일정 산정하기 | 기존에 했던 일중 그나마 비슷한 일을 떠올리면서 시간을 어림짐작하고 거기에 1~2시간을 추가했습니다.

플레닝 포커를 활용해 팀원들의 의견을 추합해 좀 더 객관적으로 작업시간을 산정해보았습니다.

기존에 했던 일중 비슷한 일이 없다면 일정을 산정하기가 너무 어려웠습니다. 또한 제가 팀의 유일한 프론트엔드이고, 다른 팀원분들이 프론트에 대한 지식이 없다보니, 플레닝 포커의 유용성이 조금 떨어지는 것 같았습니다.

실제로 진행하다보니 예상시간 x2 그 이상이 걸리는 경우가 너무 많았습니다… 아직까지 해결방법은 찾지 못했습니다. | x2로 하고 거기에 맞추는게 낫습니다. x3는 너무 오래 걸리는 것 같아요.

완전 초반이라서 아마 더 잘 안잡히는 것일 거고 아마 한주만 더 해봐도 훨씬 나을겁니다. 비슷한 작업의 연장선이 많기 때문에

얼마나 걸리는지 잘 적어두세요. 실제로 얼마나 걸렸는지 잘 측정해두시고 다음 플레닝포커에서 그걸 참고해서 그걸 적용해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일정은 경험에 의존적이라 어쩔 수 없습니다. | | 이야기가 주제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제지하기 | 1주차는 기획주인만큼 보다 넓은 시야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기획을 하기로 했습니다만, 이야기하다보면 종종 심화적인 이야기를 하게 되어서 많은 시간이 소모되었습니다.

그 자리에서 대화의 흐름을 끊는것이 어려웠기에, 모든 토론이 끝난 뒤 이에 대해서 자세한 토론은 후순위로 미루는게 어떨지 팀원에게 의견을 물었고, 동의해주셨습니다.

팀원들과 합의를 하여, 이야기가 깊어지는 것 같으면 서로 제지해주기로 합의했습니다.

현업에서도 회의가 이렇게 길어지는 경우를 대비해 따로 두는 장치가 있나요? | 이야기를 하다보면 넘어갈 수가 있습니다.

사실 캐치가 되면 중간에 끊는게 좋긴한데 걱정이 되는 부분은 깊게 이야기하는 부분은 해당 기능을 만들때 필요한 이야기일 수도 있습니다. 이건 끊는게 아니라 더 미리 밝힐수록 구현할때 더 시간을 아낄 수 있어요.

확실하게 다른 주제라고 파악되면 그때 끊는게 좋습니다.

현업에서도 딴 이야기 하는 사람들 많은데 그냥 좋게 좋게 말하고 끊는 편입니다.

주변사람들의 도움을 받아보기… (의심되면 슬쩍 물어보기 : 리마인드 해보기 - 이거 꼭 지금 이야기해야 하는거 맞아요?) | | 테스크 이상으로 작업을 하게 되는 문제 | 테스크를 달성하기 위해서 해야하는 생각하지 못한 밑작업?들이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런 경우 어디까지 처리할지 범위가 몹시 애매하네요.

이런 경우 테스크를 더 쪼개고 생성해서 진행하는게 더 좋을지, 아니면 테스트는 그대로 두고 더 많은 작업시간을 들여서 작업을 하는게 맞는지 고민이 됩니다. | 생각보다 큰 작업인 경우, 또는 다른 작업을 위한 밑작업인 경우 작업을 분리하고 팀원에게 공유하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오롯이 그 작업 만을 위한 밑작업이라면 작업을 분리하지 말고 그냥 작업 시간을 늘리세요. |

기타 경험

shadcn 관련

감싸는 컴포넌트라도 직접 만들어보기

ui를 실제로 만들어보기

재사용 가능하게 컴포넌트를 만들어 볼 것

디자인 시스템도 보면 바닥부터 만든 경우도 있고,

다 가져와서 그걸 기반으로 자기들이 만드는 경우도 있다.

그런 느낌으로 팀에서 만드는 컴포넌트를 직접 한번 만들어보기